본문 바로가기
경제생활

60대 여성의 경우 골다공증 등의 이유로 넘어질 때 손을 짚다가 팔 골절이 흔하게 발생합니다. 골절의 종류는 심각성, 위치, 골절 방향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, 이에 따른 치료법도 달라집니다.

by win96 2025. 2. 9.
728x90
반응형

1. 골절의 종류 및 분류

(1) 심각성에 따른 분류

  1. 단순골절 (Closed Fracture, 폐쇄골절)
    • 피부가 찢어지지 않고 뼈만 부러진 경우
    • 상대적으로 감염 위험이 낮음
    • 치료: 깁스(석고붕대) 고정, 필요 시 수술
  2. 복합골절 (Open Fracture, 개방골절)
    • 뼈가 피부를 뚫고 나오거나 외부로 노출된 경우
    • 감염 위험이 높고 수술적 치료가 필수
    • 치료: 응급처치 후 수술로 정복 및 고정, 항생제 투여
  3. 분쇄골절 (Comminuted Fracture)
    • 뼈가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상태
    • 고령자 및 골다공증 환자에서 발생 빈도 높음
    • 치료: 금속판, 나사, 인공관절 치환술 등 수술 필요

(2) 위치에 따른 분류

  1. 요골 원위부 골절 (Colles Fracture)
    • 손을 짚고 넘어질 때 가장 흔히 발생
    • 손목 부위 요골이 뒤쪽으로 변형됨
    • 치료: 정복(맞추기) 후 석고붕대, 심할 경우 수술
  2. 척골 골절 (Ulnar Fracture)
    • 팔꿈치에서 손목까지 이어지는 척골의 골절
    • 단독 또는 요골과 함께 골절될 수 있음
    • 치료: 석고붕대 고정, 심한 경우 금속판 고정술
  3. 상완골 골절 (Humerus Fracture)
    • 어깨에서 팔꿈치 사이의 뼈가 부러진 경우
    • 노인에서 낙상으로 인해 자주 발생
    • 치료: 부목/석고 고정, 골절 불안정 시 수술

(3) 골절 방향에 따른 분류

  1. 횡골절 (Transverse Fracture)
    • 뼈가 가로로 부러진 형태
    • 치료: 깁스 또는 금속판 고정
  2. 사선골절 (Oblique Fracture)
    • 대각선 방향으로 골절
    • 치료: 나사 및 금속판으로 내고정술 시행
  3. 나선형 골절 (Spiral Fracture)
    • 비틀리면서 발생하는 나선형 골절
    • 치료: 수술로 고정 필요
  4. 압박골절 (Compression Fracture)
    • 뼈가 눌리면서 부서짐
    • 치료: 골다공증 치료 병행, 필요 시 수술

2. 골절 유형별 치료법

  • 비수술적 치료
    • 단순 골절, 변위가 적은 경우
    • 석고붕대, 보조기 착용
    • 골 유합을 돕기 위한 칼슘, 비타민 D 보충
  • 수술적 치료
    • 골절 변위가 심한 경우
    • 금속판, 나사, 핀을 이용한 내고정술
    • 심한 경우 인공관절 치환술

3. 골절 관련 해부도

골절의 유형별 해부도를 생성하여 첨부하겠습니다.

 

위의 해부도는 노년 여성에서 흔한 팔 골절의 유형을 보여줍니다. 각 골절 유형에 대한 치료법을 확인하고, 필요 시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 

728x90
반응형